본문 바로가기
명상개념/명상법칙정리

성장호르몬의 효능

by 법천선생 2009. 2. 17.

대뇌 밑에 위치한 콩알만한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을 말한다. 단백질을 재료로 하여 만들어졌으며 체내에서 뼈, 연골 등의 성장뿐만 아니라 지방 분해와 단백질 합성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는 물질이다.

 

기능으로는 청소년기 및 성장기에는 뼈의 길이 성장과 근육의 증가 등

성장을 촉진하는 작용을 주로 한다.

 

25세 이상 성인이 된 후에는 수축성 근육 섬유보다는

결체조직(인대), 콜라겐(교원질) 등을 증가시키고

근력의 증가와 함께 지방 분해를 촉진시킨다.

 

또한 척추의 골밀도를 높여서 골다공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골절의 위험을 줄여준다.

필요한 경우로는

첫째 만성적인 전신 질환, 즉 선천성 심장병

ㆍ만성폐질환ㆍ만성신장질환ㆍ만성소모성질환 등으로 인한

왜소증 치료에 사용된다.

 

두번째는 성장 호르몬 결핍증이나 갑상선 기능 저하증,

당뇨병 등의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인한 왜소증 치료에 사용된다.

 

세번째로는 선천적 염색체 질환인 터너증후군 치료에 사용된다.

그 밖에도 골 형성의 이상에 의한 왜소증이나 자궁 내

성장 발육 지연에 의한 선천성 왜소증 등에 사용된다.

 

성장호르몬은 55세까지도 우리 몸에서 생성되는데

운동이나 영양, 스트레스, 수면 등의 환경적인 조건에 따라서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직접 투여하기보다는 운동을 생활화하거나

식생활의 조절, 충분한 수면을 통하여 우리 몸에서

자연적으로 분비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인위적으로 투여하는 다량의 성장호르몬은 당뇨병이나

근육병, 미세 혈관 장애, 조기 사망과도 관계가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