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감 없는 아이
1. 아이 기질적 요인
자신감이 부족한 아이는 부모 역시
그런 성격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많다.
낯선 곳에서 잘 울고 잘 놀라고
소심해 보인다고 해도
부모가 짜증을 내거나 하지 말고
이해하고 안심시켜 주어야 한다.
2. 형제들 중 다른 아이만 편애,
3. 아이 보는 앞에서 부부가 싸움을 자주하는 경우,
4. 아이가 부모와 오랜 기간 떨어져서 지낸 경우.
5. 아이 행동에 대해서 지나치게 통제와 간섭을 한 경우
이런 경험을 반복하게 되면 아이는 스스로 ‘나는 안 될 거야’,
‘나는 늘 혼날 거야’, ‘난 별 볼일 없는 아이, 불행한 아이’
라고 생각하게 되고 자신감을 키우지 못하게 된다.
6. 아이가 충분히 알아서 해도 될 일을 모두
부모나 조부모가 다 알아서 해 줄 경우,
아이는 오히려 자신감을 잃게 된다.
대책
1. 손쉽고 재미있는 놀이를 함께하면서
적절히 칭찬하며 자신감을 준다.
2. 어떤 선택이나 결정에 있어서 아이의 의견을
자주 묻고 아이의 선택을 지지해주라.
3. 관심이 부족했다면 관심을 지나쳤다면
무시하여 독립심을 키워주라
4. 사소한 일에 지나친 간섭을 피하라.
5. 아이를 너무 일찍 떼어 놓거나,
돌보는 사람을 수시로 바꾸는 것
6. 또래들과 접촉기회 늘려
익숙한 환경으로 만들어 주라.
또래집단의 놀이의 즐거움을 알게 한다.
7. 잘 울고 잘 놀라고 소심해 보인다고 해도
부모가 짜증을 내거나 하지 말고 기다려주고
이해하고 안심시켜 주어야 한다.
8. 새로운 장소에서는 서서히 적응할 수 있도록,
설명도 해주고 좋아하는 것을 제공하는 등
아이를 배려하는 것이 좋다.
9. 사회성을 키운다고 하여 너무 일찍
어린이집이나 유아원이나 학원에 보낼 경우,
정상적인 적응력마저 잃게 될 수 있고,
불안장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10. 특히 아빠가 아이와 레슬링을 하거나
간지럼을 타우면서 하루 5분 이상씩
놀아주는 것이 효과가 높다.
'칭기스깐학습법 > 메타인지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수의 어머니 (0) | 2011.08.24 |
---|---|
플라톤의 아이교육애 대한 명언 (0) | 2011.08.13 |
아이가 조금 늦어지더라도 자기주도학습을 하도록 하자. (0) | 2011.07.10 |
수능대비법 (0) | 2011.07.09 |
자기주도학습방법 KBS 1TV 시사기획 쌈 (0) | 2011.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