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13살의 중학생 아이가 아버지가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는다고 혼을 내자
자기 집에다 휘발유를 뿌리고 불을 질러버려
일가족 4명이 모두가 목숨을 잃은 적이 있었습니다.
참으로 안타까운 실정입니다.
공부는 단지 행복을 위하여 필요한
하나의 도구일 뿐인 것입니다.
아이는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잘 모르고
무조건 공부 안한다고 나무라는 어른들을
원망의 눈으로 바라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부를 왜 해야 하는지, 어떻게 하는지,
이미 공부하는 습관이 자연스럽게 몸에 배어 있는지는
공부의 성패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자식을 잘 키워 내가 늙은 다음에 나를 봉양하도록
하기 위하여 자식을 공부시키려는 이기적인 부모는
사실 별로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부모들은 아이가 왜 공부해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이해시킨 다음, 즉 아이가 미래를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꿈꾸게 하는 것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중요한 공부입니다.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한 지점입니다.
1등을 위하여, 부모의 관심을 받기 위하여,
입신출세를 위한 공부하거나, 좋은 취직자리를 위하여
하기는 싫지만 어쩔 수 없이 하는 공부는
그 결과가 좋지 못할 수밖에 없습니다.
일찌기 공자님은 세상에 공부를 잘하는 사람은 많으나
공부에 관한한 자기보다 더 즐기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공부하기를
아주 즐거워하며 좋아 했던 사람입니다.
우리 맘샘들은 내 아이에게 공부는 즐거운 것,
공부를 하면 그 속에서 직업도 생기고
지식도, 지혜도 생겨 장차 사회에서 성공하는 길,
행복하게 사는 길이라고 분명하고 확실히
이해하도록 수도 없이 여러 번 가르쳐야 합니다.
그러나 공부는 필히 인내력이 필요한 것입니다.
결코 서둘지 않는 맘샘의 인내력이 필요합니다.
절대로 서두르지 마십시오.
아이는 아직 어리기 때문에 무엇이든 잘 못합니다.
또한 맘샘도 학교 다닐 때 전교 1등을
단 한번만이라도 해보았습니까?
맘샘도 못해본 전교 1등을 아이에게 강요한다는 것은
어찌 보면 어불성설입니다.
아이는 맘샘의 적절한 센스를 가진 관심만큼 자란답니다.
자녀교육에 비교적 성공했다는 맘샘들의 성공담을 들어보면
1. 기다려주라, 2. 칭찬해주라,
3. 의사소통이 자유로운 신뢰하는 모자 사이가 되라,
4. 아이 사랑의 기술을 배우라,
5. 좋은 꾸지람을 하라.
6. 예능과 체육에 강하면 공부도 잘한다.
7. 자녀와 싸우면 교육은 엉망이 된다.
8. 창의력을 높이려면 허용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묻고 답하기를 많이 하라
9. 아이가 공부를 잘하게 하려면 인내력부터 키워라
10. 아이가 스스로 하도록 기다려주고 내버려 두라.
등의 바람직한 버릇을 들인 결과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다가올 내 아이 미래의 행복을 위한다면,
내 아이가 자라서 예의바르고 사회질서를 잘 지키며,
적당한 직업을 가지고 남을 배려할 줄 아는 사람이 되도록
키우는 것이 매우 중합니다.
'칭기스깐학습법 > 맘샘교육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맘샘교육연구소 연구원 (0) | 2010.10.31 |
---|---|
업장소멸 (0) | 2010.10.29 |
공부잘하는 비결? (0) | 2010.10.23 |
아이의 인지 발달 순서 (0) | 2010.10.21 |
거꾸로인 교육 세상 (0) | 2010.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