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칭기스깐학습법/미래직업연구원

외국의 입학사정관제

by 법천선생 2011. 1. 31.

앞으로 입학사정관제가 더욱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왜냐하면, 현재의 초,중,고등학교교육의 대학입시위주의

성적지향주의를 타파할만한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단 하나의 방법이 있다면,

학생들이 자기의 적성을 빨리 파악하고,

 

자기에게 맞는 다양한 경험을 한 학생을 선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어차피, 가장 좋은 학생은 자기가 가장 좋아하는 과목을

공부하는 학생이고, 그러한 학생들이야말로

그 분야에 꼭 필요한 사람이기 때문인 것이다.

 

대학에서 학습할 과별 특성에 알맞는 특별한 취미가 있는

학생을 선발하는 방법으로서의 입학사정관제가

꼭 필요하여지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외국의 입학사정관제는 어떠한지

알아 볼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미국사정관제

 

- 학생 개인, 가족정보, 교육이력, 과외활동,

시험성적, 자기 학업성적 기록 등 13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입학원서를 제출하도록 하고,

 - 제출된 자료를 중심으로 각 평가요소에 대해

입학사정관이 1~5점의 점수를 부여


 - 고등학교 성적 및 생활기록부, SAT/ACT 성적,

입학원서 등을 자료로 하되,

 - 학생들의 재능, 경험, 관심 등과 지역사회 및

대학에의 적응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사정


- 개인신상정보부분(Part 1)과 학업성취(Part 2)로 구성된

입학원서를 접수하고,

 - Numeric Index라는 학문적 요인에 대한 측정과

Personal Rating이라는 비학문적 요인의 두 축으로 나누어

지원자를 평가

 - Numeric Index는 SAT/ACT, GPA,

그리고 Class/School Rank에 의해서 평가

 - Personal Rating은 수상실적, 비교과활동,

개인의 인성과 적성, 삶의 열정 등을 평가


입학사정방법 

 - 입학정원의 95% 정도를 학업성적 또는

시험점수에 의해 선발하고,

5% 정도는 비학문적 평가요소

(비교과활동, 리더 십, 특별활동, 수상경력, 사회봉사 등)

에 의해 선발

 - 단, 학업성적 또는 시험점수로 선발하는 경우라도

비학문적 평가 영역이 우수하지 못한 경우 입학을 불허하며,

수준 이 낮은 학교출신의 지원자들은 발전 가능성 등을 고려


일본의 경우

 

· 학력검사에 편중되지 않고 서류심사와

장기간의 심층면접 등을 통하여 수험생의 능력, 적성,

학습에 대한 의욕, 목적의식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

 

 · 선발 방법, 내용은 매우 다양하며, 선발형(논문입시유형),

대화형(예비면담 유형) 등으로 분류 가능

 

 - 선발형 : 수험생의 의욕, 개성과 함게 학력을 중시,

논문이나 에세이를 포함한 1차 서류심사를 실시하고

합격자에 한 해 면접, 논문을 부과하여 당락 결정

 

 - 대화형 : 학력보다 수험생의 입학의지를 중시(AO입시의 주류),

정식으로 원서 제출전 예비 면담과 인터뷰를 하고,

 

AO 등록을 하게 한 후 정식으로 원서를 제출하게 하고

면접, 면담을 반복하여 당락을 결정

 · 고교에서 대학에의 원활한 이행에 기여하고,

수험생이 자기에게 맞는 대학을 선택하는 것을

종래보다 용이하게 하는 입시로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