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창 정렴선생님의 '용호비결'에 따르면,
수행에 진보가 없는 것은 '삼시구충'이라는
마음의 벌레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 벌레들은 우리의 영혼의 자유를 제한하고,
차크라의 완성을 방해하며, 염불을 한다해도
별로 진보하여 성공하지 못하게 만듭니다.
이 벌레들을 박멸하는 것은 수행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 중 하나입니다.
마음을 조심하고 사랑과 감사하는 마음을
키우면 삼시구충을 볼 수 있게 될 것이고,
그 수행의 공덕으로 벌레들이 견디지 못하고
결국은 빛에 밀려 몸 밖으로 도망가게 됩니다.
우리 몸속에는 '상충', '중충', '하충'이라는
세 마리의 삼시구충이 있으며, 각각 상충은
눈과 머리카락을 관장하게 되고, 중충은 오장과
기운을 담당한다고 하며, 하충은 음란한 욕심을
일으키는 부분에 엄청한 영향을 미칩니다.
수행을 열심히 하여 이 벌레들을 몸 밖으로
내보내야만 수행의 성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이 글의 핵심은 마음을 다스리는 조심이라는 것이
수행에서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명상개념 > 명상법칙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행자는 자기 몸을 잘 돌보아야 한다! (1) | 2025.04.26 |
---|---|
염불 수행자에게도 감성지수가 중요하다! (0) | 2025.04.25 |
염불선 하는 방법, 청화 선사 (0) | 2025.04.24 |
환희지 경지 (0) | 2025.04.24 |
부드러운 것이 강한 것을 이기는 것처럼.... (1)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