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수미의 어머니
선화예고와 서울대 성악과를 거쳐 로마의
산타 체칠리아 콘서바토리에서 공부한 세계적인
프리마돈나 조수미. 그녀의 어머니는
아이들에게 훌륭한 음악가가 되어야 한다고
강요하지 않았다.
조수미가 콩쿠르에 참석하는 날이면
꼭 꿈 얘기로 사기를 북돋워주었다.
“지난밤의 꿈이 참 좋다. 긴장하지 마.”
이는 긴장을 풀어주는 자신감을 주는
아주 훌륭한 격려였다.
어머니는 조수미에게 1등을 해야 한다고
말한 적이 없었다.
어차피 잘해야 한다는 부담감은 본인이 더
가지고 있으므로 쓸데없는 마음의 짐을
지워주지 않았다.
이는 자녀를 정서적으로 안정시키는 데
큰 효과가 있는 좋은 교육방식이었다.
Tips!
자녀가 능력도 있고 적성에도 맞을 경우
위임형이 좋다.
주도권을 아이에게 주고 엄마는 뒤에서
확인만 하면 된다.
우리 나라 엄마의 경우 아이가 능력이 있으면
앞에 나서서 더 설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절대 금물. 뿐만 아니라 아이가
능력이 있다고 이것저것 너무 많이 시켜서도 안 된다.
아이가 이것도 잘하고 저것도 잘하기 때문에
마구 시키는데, 열심히 하는 것과 올바른 길로
이끄는 것은 다름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
'칭기스깐학습법 > 메타인지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고의 노력을 하지 않은 특별한 영재는 없다고 해야 옳다. (0) | 2011.11.14 |
---|---|
아이 공부 성공의 지름길, 자기주도로 학습하도록 한다? (0) | 2011.11.12 |
한니발의 얼굴 (0) | 2011.10.27 |
엄마가 대신 숙제해주기 (0) | 2011.10.24 |
자립정신을 갖게 하는 것 (0) | 2011.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