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개발 : 창의성, 평생학습
지식 습득 or 두뇌의 개조
- 독학의 기술
- 자기 개발서의 덫
▶사회: 과학자에게 꼭 필요한 것이 창의력이다.
창의력을 기를 수 있는 방법은.
- 리: 학교가 학생들이 성공을 경험하는 장소가 돼야 한다.
성공을 경험하면 자신감을 얻게 되고, 자신감은
창의성으로 연결된다.
아시아 대부분의 국가에선 학생들의 순위를 매기고,
99.9점을 받아도 0.1점을 더 받으라고 다그친다.
극복해야 할 과제다.
- 아론 치에하노베르: 가장 해 주고 싶은 조언은
‘아무것도 믿지 마라’는 것이다.
그리고 ‘책을 읽지 마라’는 것도. 저자의 지식이
나보다 낫다고 생각하고 책에 쓰여 있는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말라는 뜻이다.
그렇게 끝내서는 안 된다.
항상 ‘왜’ ‘무엇이’라는 질문을 해야 한다.
이렇게 기른 ‘질문하는 힘’이 나중에
과학자의 길을 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콘버그: 지금 세대는 우리 때보다 훨씬
경쟁이 치열하다.
외우고 공부하는 데 시간을 투자하도록 강요받고 있다.
바로 이런 것이 창의성을 잃게 한다.
나는 일생 동안 숙제를 해 본 적이 한 번도 없다.
집에 와선 내가 원하는 것을 했다.
다른 친구들이 (숙제) 문제를 푸는 동안,
나는 지하실에서 나만의 실험에 푹 빠져 살았다.
내겐 꿈을 가질 수 있는 시간이 있었다.
- 고바야시 마코토: 과학적 사고에는 크게
분석과 융합의 과정이 있다.
분석은 논리적이고 연속적이지만, 융합은
통찰력이 필요하고 비연속적이다.
과학적 분석은 노력으로 도달할 수 있지만,
융합적 사고는 영감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사회: 아시아의 기초과학 수준은 미국이나
유럽보다 뒤처져 있다. 이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은.
- 조레스 알표로프: 동료 한 명이 ‘모든 과학은
응용과학인데, 응용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다를 뿐’
이라고 말했다.
기초과학은 미래 응용과 발전의 기반이 된다.
이런 일이 빨리 일어날 수도 있고 좀 늦을 수도 있다.
아시아는 잘할 수 있다. 확신을 가져라.
- 콘버그: 아주 어려운 문제를 풀고, 매듭 짓고,
일을 끝냈을 때의 기분은 노벨상을 받은 것보다 황홀하다.
내가 계속 과학을 공부하게 된 이유 중 하나는
바로 그럴 때 느끼는 충만감 때문이다.
노벨상을 타는 것도 커다란 업적이겠지만,
연구할 때 느끼는 개인적 만족감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
- 고바야시: 노벨상을 받고 싶어 하는 것에 대해서는
할 말이 없다.
하지만 그것을 목표로 삼는 것은 문제다. 노벨상은
보상으로 따라오는 것이지 목표가 돼선 안 된다.
스스로가 즐기는 것을 찾고 그것을 동기로 삼아라.
최낙언의 자료보관소
'칭기스깐학습법 > 메타인지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범한 사고에서 벗어 나야 창의력 발생! (0) | 2017.01.27 |
---|---|
창의적인 사람들의 18가지 다른 행동 (0) | 2017.01.27 |
기억의 저장 방법 (0) | 2017.01.27 |
교회에서 성황리에 실시된 메타인지력학습법 특강 (0) | 2017.01.26 |
메타인지력을 높이기 위한 좋은 습관 (0) | 2017.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