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법천건강연구소

너무 많은 걱정에 대한 대책

by 법천선생 2018. 11. 9.


걱정거리의 대부분은 해결이 불가능한 문제라는 점이니,

고내시리 근심과 걱정을 하여 불안해 할 필요는 없다.


주변 환경에 극도로 예민하거나, 다른 사람의 시선을

지나치게 의식하는 것 역시 과도한 걱정에 해당한다.

주변에 대한 과잉 해석이 불필요한 걱정을 일으킨다는 것.


만성화된 걱정이 건강에 해로운 이유는 식욕, 식습관,

수면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사교생활과 업무활동을 방해하는 등 전반적인 라이프스타일도

망가뜨린다.


과식, 폭식, 흡연, 음주 등의 안 좋은 습관을 갖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다.


미국 의료포털 웹엠디에 따르면 스트레스 호르몬이 과도하게 분비되면

현기증, 구강 건조, 심박동수 증가, 피로, 두통, 집중력 저하, 근육통,

근육 긴장, 메스꺼움, 숨 가쁨, 땀, 떨림 등이 나타나게 된다.


강도 높은 불안감이 만성화되면 이런 증상들이 심장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우울증이 생기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를 예방하려면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심리치료를 받거나

항불안제 혹은 항우울제 등의 약물을 처방 받는 방법이 있다.


일상에서는 운동, 균형 잡힌 식사, 휴식 등의 조화가 잘 어우러져야 한다.

더불어 전문가들은 하루에 딱 15분씩만 자신의 걱정거리에 집중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권장한다.


 자신을 불안하게 만드는 문제에 온전히 집중하면 심리적 불안이 어디서

기인하는지, 또 이는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인지 아닌지 등에 대해 생각해볼

기회가 생겨 마음을 차분하게 정리하는데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