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음마상(想陰魔相) >
상음에서 오는 마의 모양들.
경계를 대하여 사물의 심(心)을 상상하는
작용을 하는 상음(想陰)의 10종 마(魔)는
融通한 망상이 근본이 되어 천마(天魔),
귀마(鬼魔) 등이 있으나 이를 미(迷)하여
알지 못하고 스스로 성인의 경지에 올랐노라
하여 대망어(大忘語)를 짓게 된다.
① 탐구선교(貪求善巧)
: 삼마지에 들어 수음(受陰)이 다하면
문득 무수한 기교와 신통을 부리고 싶은 마음.
② 탐구경력(貪求經歷)
: 문득 돌아다니면서 불·보살의 행세를
하고픈 바램.
③ 탐구계합(貪求契合)
: 문득 마음으로 묘리에 계합하기를 탐구하여
천마로 하여 방편을 얻어 법(法)을 설하여
설하는 자와 듣는 자로 하여금 심(心)에 숙명통·
타심통을 얻게 하고 지옥 등을 보고 수승함을 얻었다함.
④ 탐구판석(貪求辨析)
: 문득 근본을 따지고 분석하고자 하는 바램.
⑤ 탐구명감(貪求冥感)
: 문득 뭇 선지식들이 동하기를 원하는 바램.
입으로 선지식을 行하고 전생을 말하지만
이는 귀신의 조화임.
⑥ 탐구정밀(貪求靜謐)
: 문득 아주 고요함만을 원하는 바램.
⑦ 탐구숙명(貪求宿命)
: 문득 전생 일을 알고 싶은 바램.
⑧ 탐취신력(貪取神力)
: 문득 신통력을 얻고 싶은 바램.
⑨ 탐구심공(貪求深空)
: 삼마지를 닦는 중에 문득 멸해지기를 깊이 바램.
⑩ 탐구영멸(貪求永滅)
: 문득 삼마지 중에 장수하기를 구하며
분단생사를 버리고 변이생사를 얻어 미세한
상(相)이 상주하기를 바램.
[출처] <수능엄경>에 수록된 수행 중에 오는 50가지 마장의 종류|작성자 천란
'명상개념 > 명상법칙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능엄경 식음마상(識陰魔相) (0) | 2025.03.26 |
---|---|
수능엄경 행음마상(行陰魔相)> (0) | 2025.03.26 |
수능엄경, 수음마상(受陰魔相) (0) | 2025.03.26 |
수능엄경 색음마상 (0) | 2025.03.26 |
비로자나불의 현신이라는 사람 (0)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