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하는 습관

독서편지, 내가 달리는 목적

by 법천선생 2021. 5. 1.

아침 독서편지 – 2,294

 

내가 달리는 목적

 

 

하루 중 그냥 하는 일이 있나요? 그것이 취미가 될 수도 있고, 직업일 수도 있습니다. 무언가의 좋은 결과나 목적을 위해서가 아닌 그냥 하는 일. 이 책은 중년에 달리기를 시작한 심장병 전문 의사의 이야기입니다. 저자 조지 쉬언은 마흔 네살의 나이에 '더 이상 이대로 살 수는 없다' 생각으로 의사라는 직업을 접고 학창 시절 즐겼던 달리기를 시작합니다. 51세에 1마일 세계 신기록을 세우고 61세에 개인 신기록을 달성했습니다.

 

그는 달리기에 대한 전문적인 책을 썼으면서도 사실상 기록 향상과 자세에 대한 지침서가 아니라 왜 달리는가?’ 에 대한 자신의 삶의 철학을 이야기하고 달리기 과정을 통해 사색하고 모든 것들을 낯설게 보고 발견하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책의 차례만 읽어도 전체를 다 읽은 것처럼 달리기가 곧 살아가는 일이며, 삶이 방식이 어떠했으면 좋겠는지를 우리에게 말해주는 것 같습니다. 달리기, 연습하기, 자신이 되기, 살아가기, 시작하기, 발견하기, 이해하기, 놀기, 배우기, 잃어버리기, 치유하기, 우뚝서기, 경험하기, 경주하기, 승리하기, 명상하기, 성장하기, 바라보기.

 

 

조지 쉬언은 삶을 더 깊이 살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달리기를 제안합니다. 힘들 때면 그는 이 순간을 견디는 과정이 인생에서 일어나는 모든 어려움을 견디는 과정과 같다고 생각하며 다음 발을 내딛습니다. 그에게 달리기는 삶을 더 깊이 살기 위한 방편이었습니다.

 

 

여러분을 새롭게 하는 것, 낯설게 보도록 해 주는 것은 어떤 일인지요? 저자는 달리기를 하면서 익숙한 것을 낯설게 보는 법을 배웁니다. 우리가 낯선 곳으로 여행을 가는 이유도 새로운 체험을 하는 것도 다 익숙한 것들로부터 떠나보려는 노력이겠지요. 낯선 시각을 통해 보지 못하고 있는 자신과 주변의 것들을 발견하는 것. 새로움과 낯설음을 느끼려면 현재 있는 그 순간, 어떤 일을 하는 그 순간에 몰입해야만 합니다.

 

<내가 달리는 모든 1마일은 늘 첫 번째 1마일이다. 길에서 보내는 매 시간은 언제나 새로운 시작이다>

 

지금 이 순간의 반대말은 과거나 미래가 아니라 지금 이순간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라고 표현하였습니다. 지금 이 순간을 느끼고 최선을 다해야 삶을 즐길수 있게 됩니다. ‘피할 수 없으면 즐기라 는 말은 즐기려면 하는 일에 자기를 잊을 정도로 몰입하지 않으면 이룰 수 없는 경지입니다.

 

<몸과 마음과 정신이 살아있는 아이와 시인, 성자와 운동선수들에게 시간이란 늘 지금을 뜻한다. 그들은 영원히 지금을 살아간다. 격렬하게, 헌신적으로, 지금 이 순간 속으로 뛰어든다. 그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여기이며 가장 중요한 시간은 지금이며 가장 중요한 사람은 지금 앞에 있는 사람이다.>

 

달리기만큼 달리는 처음부터 끝까지의 모든 과정 지금 이 순간에 영원히 몰입하는 것이 있을까 싶어집니다. 그래서 순간이 곧 영원이라는 의미를 조금은 이해하게 됩니다. 저자는 달리기는 글쓰기이며 또한 우리의 삶으로서 정신과 육체가 분리될 수 없는 것처럼 하나의 방향으로 가는 일이라고 보았습니다.

 

저자는 달리면서 나는 왜 달리는가?’에 대한 답을 찾습니다. 그리고 그 질문은 나는 무엇을 위해 사는가?’와 같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우리는 목적지향적인 사회에서 의미없는 일을 잘 견디지 못합니다. 운동에서의 최고, 신기록, 성장하는 매출액 들이 아니면 의미를 갖지 못하는 것들이 많습니다. “그걸 뭐하러 해?” 이런 말을 한 적이 있지 않나요? 어떠한 형태든 목적과 바라는 결과가 없으면 안하게 되는.... 그러나 그런 목적성의 결과가 우리를 보상해주지만 우리를 구원해주지는 못한다고 말합니다. 만약 하고 있는 어떤 일이 의미가 없다면 스스로 그 의미를 찾아야만 하기 때문입니다.

 

그 무언가를 하는 목적을 벗어났을 때 비로소 그 무언가가 의미있는 것이 될 때가 있습니다. 살을 빼기 위해, 건강을 위해 달리다가 결국에는 모든 의미에서 벗어나 달릴 수밖에 없기 때문에 달리는 그 순간이 곧 존재하는 이유를 알게 되는 때 임을 그래서, ‘왜 달리는가?’  왜 사는가?’라는 질문과 같습니다.

 

무언가를 위하여가 아닌 그 무엇이 나에게는 무엇일까? 를 되돌아보게 합니다.

 

- 달리기와 존재하기, 조지쉬언, 한문화멀티미디어, 2003

 

 

2021 4 30()

 

독서로!  세계로!  미래로!

()전국독서새물결모임 독서교육연구소 연구원 양미현

하루 10분 생각습관 하브루타」 저자, 경남 대감초 교감, sabin6017@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