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천건강연구소/법천웰다잉1010 죽음에 대하는 마음가짐과 태도 사람들의 개념이 잘못된 것들이 아주 많다. 죽음에 대한 자세와 태도도 정말 그렇다. 죽음에 대하여 잘 모르면서 어떻게 죽으면 모든 것이 끝이라고 생각하도록 만들었는가? 죽음이 무섭고 두렵다고 피하면 더 모른다. 죽음에 대한 이해는 치유에 큰 도움이 된다. 그대는 영혼, 불성, 성령의 에너지인 것이지, 결코 이 육신을 가진 사람의 몸만이 아니다. 그 진정한 존재는 몸이 죽어 몸을 버린다해도 늘 다른 상태로 이사가는 존재일 뿐인 것이다. 상태의 변화를 주관하는 존재는 전혀 변하지 않는 영원한 것이고, 절대로 없어지지 않는 존재이다. 죽고 싶어도 죽을 수 없는 존재는 불성이라고 불교에서 불리우는 그대의 몸이 아닌 그대의 몸을 맡아서 관장하는 그대의 몸속의 불성, 영혼인 것이 라는 것이고 그것이 바로 영혼의 운.. 2021. 9. 12. 임종삼요(臨終三要) 임종하는 사람을 위한 법문에는 알아야 할 두 가지 중요한 핵심적인 요소가 있는데, 첫째는 환자로 하여금 사바세계의 고통과 불안함을 이해하고 이 사바세계에 집착과 미련을 두어 보아야 전혀 소용없다는 것을 완전하게 이해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로는 죽음과 싸워서 이기려고 하지 말고, 이번 생에서의 공부가 완전하게 끝났음을 알고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자세히 보는 것이고, 세째는 극락세계의 수승한 장엄에 대해 법문함으로써 그가 생각생각 극락세계를 흠모하도록 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함께 조념염불을 하게 되면, 이때 부처님께서 몸을 나투시게 되는 것이고, 그에게 극락왕생을 바라는 마음이 있으므로 바로 아미타부처님이 대동하고 장엄하게 나타난 극락삼성과 더불어 부처님의 접인을 받고 극락세계에 곧바로 왕생하.. 2021. 9. 12. 임종시 읽어 주면 좋은 글 (티벳사자의 서) “그대 자신의 마음이 바로 영원히 변치 않는 빛(무량광無量光) 아미타불이다. 그대의 마음은 본래 청정하여 텅 빈 것이고 스스로 빛나며, 저 큰 빛의 몸으로부터 떨어질 수 없는 것이다. 그것은 결코 태어남도 없고 죽음도 없다. 이것을 올바르게 깨닫는 것으로 충분하다. 본래 텅 빈 그대 자신의 마음이 곧 붓다임을 깨닫고, 그것이 곧 그대 자신의 참된 의식임을 알 때 그대는 붓다의 마음상태에 머물게 되리라.” 이것을 분명하고 정확한 목소리로 세 번 또는 일곱 번 반복해서 읽어줘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임종자는 생전에 영적 스승에게서 배운 내용을 기억할 것이다. 그리고 그의 순수의식이 그러한 투명한 한없는 거대한 빛임을 바로 깨달을 것이다. 그는 자기 자신의 모습을 깨닫고 존재의 근원과 영원히 하나가 될 것 .. 2021. 9. 12. 죽음준비교육이 무엇인가? 죽음에 대한 준비는 노인만 해야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생각하기 쉽다. 죽음은 나이순으로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나이에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언제든지 찾아올 수 있다. 따라서 죽음은 노인에게만 해당되는 일이 아니라, 살아있는 사람 모두에게 관계된다. 죽음준비 역시 마찬가지이다. 죽음 준비는 삶과 죽음 각각에 관련해 말할 수 있다. 유념하면서 지금 자신이 살아가는 방식을 다시 돌아보고서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보다 의미 있는 삶을 영위하라는 뜻이다. 죽음 준비는 죽음과 관련해 평소에 죽음을 미리 준비해 갑자기 죽음이 찾아오더라도 편안히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충분히 준비해 두라는 의미이다. 죽음 준비는 한 마디로 요약하면 갑자기 찾아올 수 있는 죽음에 대비해 삶을 보다 의미 있게 살라는 뜻이다. 죽음준비는 .. 2021. 9. 10.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