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칭기스깐학습법/기다려 주는 교육40

연암에게 글쓰는 방법을 배우다. 1. 책을 쓰려거든 정밀 독서를 하여라. 2. 관찰과 통찰을 통하여 절차탁마하라. 3. 원칙과 모범을 따르되, 적절한 변통을 통하여 엡그레이드하라. 4. 통합과 그 사이를 관통하는 시각을 갖추라. 5. 10가지 실전수칙을 지키라 1. 주제의식을 가져라 2. 제목이 의도하는 바를 파악하라 3. 적절한 .. 2012. 11. 30.
삼치설(三稚說) 꿩은 본래 뽐내기를 좋아하고 싸움을 잘한다. 한 마리의 장끼는 여러 마리의 까투리를 거느리고 산등성이나 산자락에서 노닌다. 특히 봄과 한여름은 번식기라서 까투리의 울음소리가 요란하다. 그러면 수놈인 장끼들이 그 소리를 듣고 날개를 푸드덕거리며 까투리 곁으로 날아간다. 그.. 2012. 11. 30.
기다려주는 교사가 NO1교사 부모가 지나친 욕심을 가지고 내 아들이 잘되도록 종용하게 되면 자연스레 잔소리가 난무하게 마련이다. 과연, 잔소리를 많이 하는 것이 좋은가? 오히려 아이가 스스로 하도록 조금씩만 부추기는 것이 좋겠는가? 그래서 '세상에서 가장 잘 가르치는 사람은 기다려줄 줄 아는 교사'라는 것.. 2012. 11. 9.
기다려주는 것이 적기교육 진로설정=NO1 동기유발법 학생으로 하여금 공부하고자 하는 마음이 생기도록 동기부여하는 방법으로 좋은 것은 조기에 진로를 설정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다. 1500의 원리 피아제는 자기 아들에게 실험한 결과, 손목에 방울을 달고 실험을 하였는데, 손을 들면 방울이 울린다는 평범한 .. 2012. 1. 29.